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20

대통령 선거와 반려견의 법적지위의 변화 다수의 반려견 사고들이 언론상에 이슈화되고 그 처리 절차가 공유되면서 이제는 많은 사람들이반려견의 법적 지위에 대하여 인지하고 있는듯 하다.많은 사람이, 특히 반려인들이 알고 있는 바와같이 반려동물의 법적 지위는 소위 말하는 "물건"이다. 사람과 같이 하나의 권리를 가진 주체가 아닌 객체로 간주하기에 주체권을 가진 사람의 하나의 "물건" 정도로 취급받는 것이다. 민법 제98조에 따르면 반려동물은 "유체물 및 기타 관리할 수 있는 자연력"으로 정의 되어 있다. 보호자의 입장에서 수년을 동고동락한 내 가족이 물건 취급 다는다는 것에 안타까움이 느껴지고 사고나 기타 사유를 통해 그 존재감을 법률제도 하에서 체감한다면 강한 분노를 느끼기도 한다. 물론 지금의 반려견 지위는 여러 해를 거쳐 법적으로 정서적.. 2025. 5. 27.
한국의 반려동물 스타트업의 시장현황 및 전망 최근 가장 핫한 키워드는 바로 AI(인공지능)이다. Chat GPT를 시작으로 인공지능을 통해 삶의 전반을 개선하려는 시도가 만연하다. 하지만 언제나 모든 흐름에는 비즈니스가 그 선두에 서듯 최근 가장 주목을 받고 언급되는 AI의 형태는 생성형 AI가 아닐까 한다. 창작에 대한 시간과 노력이 줄어들면서 이를 비즈니스로 연결하려는 개인, 그리고 기업의 시도가 그 어느 때보다 활발한 것처럼 보인다. 한국 스타트업 투자 데이터베이스인 더 브이씨에서 AI를 검색해 봐도 AI 기반의 많은 업체들이 투자받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면 반려동물 업계는 어떨까? 최근 기사를 통해 반려동물 헬스케어와 AI 분석기술을 접목한 '에이아이 포펫'이라는 스타트업이 NH 농협은행과 상호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 2025. 5. 21.
전국 반려견놀이터, 반려동물테마파크 조성 현황 반려견 천만 시대를 넘어 반려동물 천오백만 시대라는 키워드가 각종 기사 및 반려견 관련 시장에 돌아다닌다. 인구 오천만 대한민국에서 정말 반려견이 천오백만이나 되는지는 의문이다. 2020년 인구주택 총조사에 따르면 우리나라 전체 가구 수 2,092만 7천가구 중 312만 8천가구즉, 전체가구의 15%에 해당하는 가구가 반려동물을 키우고 있다고 보고했으며 KB 금융그룹에서 보고한 2023 한국 반려동물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552만 가구 1,262만명이 반려동물을 양육하고 있다고 표기하고 있다. 국내 552만 가구가 반려동물을 키운다고 하지만 모든 가구가 2~3마리의 다견, 다묘가정은 아닐 것으로 보이니 천만, 천오백만이라는 숫자는 다소 부풀려진 게 아닌가 하는 생각도 든다. 그런데도 국내 반려동물,.. 2025. 5. 18.
반려견 산책시 주의[필독] 유박비료, 독성식물 봄바람이 불고 꽃이 흐드러지는 봄날에는 반려견과 산책하기 너무 좋은 날씨죠따사로운 햇살에 여기저기 돌아다니고 싶은 계절입니다.하지만 이런 계절에 반려견 산책 시 주의해야 할 것들이 있습니다. 가장 우선하여 조심해야 할 요소는 진드기 입니다.수풀이나 잔디 등을 산책한 전후로 진드기 예방책을 취해주지 않는다면바베시아증, 아나플라스마증과 같은 감염병에 노출 될 수도 있습니다.진드기에 물릴경우 고열, 무기력증, 식욕부진, 관절 통증, 구토, 설사 등을 유발할 수 있죠진드기의 예방, 처치, 치료에 관해서는 다른 글에서 세부적으로 다뤘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두 번째는 유박비료 입니다.반려 인구가 많아지고 산책과 반려견과 함께하는 여행, 캠핑, 트레킹 등이 일반화 되면서산야를 다닐 일들이 많아지고 몇 년 전부터 .. 2025. 4. 14.